성서연구

구약성서연구 제11강 : 무너져 내리는 이스라엘의 전통

이스라엘 역사에서 왕국시대는 여러가지 면에서 새로운 사상과 제도를 이스라엘 사회에 실험하고 실습하던 시기였다고 말할 수 있다.  신앙 정신의 맥락에서 이스라엘의 왕국사는 “하나님의 통치”의 포기이자 거부였다. 종교적으로 그것은 “여호와 신앙을 바알신앙으로 대치하기”였다. 경제-사회적으로 그것은 이스라엘적인 삶의 태도가 “가나안적으로 살아가기”에 먹혀버리는 시기였다. 한마디로 이스라엘적인 전통이 무너지고, 그 자리에 새로운 사조와 풍습이 자리잡게 되던 시기였던 것이다. 이 와중에 …

구약성서연구 제11강 : 무너져 내리는 이스라엘의 전통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10강 : 왕을 세운 이스라엘 (사무엘서, 열왕기서)

히브리어 성서 구분법에 따라 전기 예언서의 두번째 부분에 해당되는 사무엘서와 열왕기서는 왕국을 세운 이스라엘의 삶을 담담히 보도하고 있는 성서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성화에 하나님이 마지못해 왕정제도를 허락하신다. 물론 사무엘서에서는 왕정제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말하는 본문이 있는가 하면 (삼상 9:1-10:16 ; 비교 13:3-14), 왕정제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는 본문도 있다 (삼상 8:1-22 ; 10:17-27 ; 12:6-17). 전자는 왕이란 …

구약성서연구 제10강 : 왕을 세운 이스라엘 (사무엘서, 열왕기서)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9강 : 왕을 세우지 않았던 이스라엘

구약성서연구 9강 왕을 세우지 않았던 이스라엘 (여호수아, 사사기) ​ ​ 여호수아서와 사사기는 이스라엘의 가나안땅 정착과정을 설명하고 있는 이야기이다. 모압평원을 가로질러 요단강을 건너 “젖과 꿀이 흐른다”는 땅으로 가는 길-그 길이 묘사되어 있는 책이 여호수아서와 사사기이다. 그러나 두 책을 읽어보면 “어떻게 해서 잇라엘이 가나안 땅에 살게 되었는가 ?” 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서로 달리 말하고 있음을 알 …

구약성서연구 제9강 : 왕을 세우지 않았던 이스라엘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8강 : 예언서

구약성서연구 11강 : 예언서 ​ ​ 나름 힘차게 달려온 성서연구 시간이 오늘 히브리 성서 구분법에 따라 두번째 부분인 예언서에 접어 들었다.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서 /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스겔서, 그리고 12소 예언서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가 여기 예언서에 속한다. 이때 여호수아~열왕기서에 이르는 책들을 전기 예언서라고 부른다면, 이사야서~말라기에 …

구약성서연구 제8강 : 예언서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6강 시내산 전승 단락

구약 성서 연구 제6강 시내산 전승 단락 (출애굽기 19:1-민수기 10:10) ​ ​ 우리는 지금까지 구약성서 전체의 틀과 모세오경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마 살펴 보았다. 이어서 오늘은 흔히 말해서 율법의 핵심 부분인 시내산 단락을 살펴 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출애굽 전통에 따르면, 모세의 상(像)은 해방자이다. 그러나 오늘 우리가 나눌 단락에서 모세의 모습은 토라의 전수자이다. 이스라엘 역사에서 모세 …

구약성서연구 제6강 시내산 전승 단락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5강 : 다시 읽는 출애굽기

구약 성서 연구 제5강 ​ 다시 읽는 출애굽기 ​ 오늘 우리는 출애굽기가 다루고자 하는 전체적인 의미를 살펴 보고자 한다. 지난 시간 우리가 이야기 나눈 대로, 출애굽기-신명기는 한 백성의 이야기를 다룬다. 창세기가 한 조상의 이야기를 전하는데 목적이 있다면, 출애굽기-신명기는 한 설립자를 소개하고자 한다. 즉 모세의 일대기 형식이다. 출애굽기의 전개에서 우리는 모세라는 한 영웅의 등장,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의 …

구약성서연구 제5강 : 다시 읽는 출애굽기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4강 : 모세 오경의 구조

구약성서 연구 제4강 지난 시간 우리는 모세오경의 구조에 대해 살펴 보았다. 오늘 시간에는 모세오경의 구조에 대해 요약하고 다음 주제인 모세오경의 내용은 무엇인지, 그 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 오경의 구조 ​ 오경의 본문 전체는 크게, 그리고 기본적으로 출애굽에서 신명기에 이르는 네권의 책들의 모세의 탄생 보도에서 모세의 죽음 보도에 이르는 이야기라는 틀 속에 묶을 …

구약성서연구 제4강 : 모세 오경의 구조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3강 : 오경의 구조

구약성서 연구 제 3 강 : 토라의 구조 ​ ​ 우리는 지난 두 번의 시간을 통해서 우리는 왜, 어떻게 성서를 읽어야 하는지 대하여, 그리고 구약성서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나누었다. 오늘은 그 중에서 구약성서의 첫번째 부분인 토라 (모세 오경)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 ​ Ⅰ. 토라의 일반적 구조 ​ 토라의 구조는 창세기-신명기에 이르는 다섯 …

구약성서연구 제3강 : 오경의 구조 Lire la suite »

구약성서연구 제2강 : 구약성서와 타낙

Ⅰ. 구약성서와 타낙(TaNaK) ​ 기독교인들은 창세기에서 말라기에 이르는 39권의 책을 « 구약성서 »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구약성서(옛 약속)라는 명칭은 신약성서(새 약속)라는 명칭에 상응하는 용어이다. 새 약속이라고 일컬어지는 책에 짝을 이루는 옛 약속을 담은 책이라는 의미를 담은 이 책, 구약 성서는 그리스도 예수의 오심과 행하심의 빛에서 바라볼 때, 창세기에서 말라기에 이르는 일련의 책들은 메시야의 오심을 약속하고 예고하는 …

구약성서연구 제2강 : 구약성서와 타낙 Lire la suite »